竹圃美術館

수채화 27

중국회화-무위자연

李繼華 245cm X 125cm Ink and Color on Paper ​ 장자는 노자의 무위자연을 이어나가며 그의 사상에 담고 있는 숙명론적 요소들과 인생에 있어 무관심한 태도를 없애고 예술적 색채와 미학적 내용을 더욱더 발전시켰다. 장자와 그 후세의 학자들은 무위인 것이 최고의 경지에 이를 수 있는 지름길이라고 생각하였으며 무위자연의 정신을 생활하는데 있어 근본으로 삼고 살아갈 것을 요청하였다. 이러한 그들의 요구는 모든 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인간 생명이 자연적으로 발전한다는 내용과 부합되어야 한다는 뜻으로 “모든 인성과 천명은 정을 잃지 않아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즉, 삶에 있어 무위자연을 준법과 규칙으로 삼고 살아간다는 것은 인간 생명의 자연스러운 발전을 생활 준칙으로 삼고 살아간다는 ..

중국회화-무위자연

梁文博 露漫秋野 145cmⅩ145cm Ink & Color on Paper ​ ​ 무위란 인위人爲의 반대말로써 말 그대로 ‘아무것도 하는 일이 없음’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자연에 어떠한 흔적을 남기지 않고, 인간 상식을 초월한 도道와 천天의 기운으로, 사사로움 없이 공정한 성격을 이상화하여 말하기도 한다. 노자는 인간의 욕심과 아는 것에 의해 세상에 크게 무언인가를 하려 한다면 세상이 크게 어지러워질 것이므로 인위적으로 조작하려 하지 말고 자연의 순리대로 흘러가도록 두면서 삶을 살아가는 것이 현명하게 살아가는 방식이라고 했다. 즉, 무위는 원인과 조건에 의지하지 않고 원인에 따른 결과가 없으므로 무위법 無爲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현상세계에서 원인과 조건에 의해 생기고 시없어지는 유위법 有爲法의 반대..

중국회화-무위자연

劉宗漢 嘉陵江畔 中國美協2001년 全國中國畵大展入賞昨 145cmⅩ145cm Ink & Color on Paper ​ 온 세상의 우주만물은 한없이 변화하기에 자연계의 생성과 변화에 대한 인식의 판단이 시대상황이나 환경, 관점 등에 따라 다르다. 이렇기 떄문에 자연의 사물들을 예술적으로 인식하려면 관념적 집착을 초월하여 정신의 절대적 자유를 가질 수 있다. 어떤 개인이 자기가 하는 활동에 있어 천부적인 재능을 자유롭고 마음껏 발휘하여 최고에 이르면 그 또한 무위라 할 수 있다. ‘무위’라는 것은 의식적으로 또는 인위적으로 어떠한 행동을 하지 않고 자연을 있는 그대로 둔다는 뜻으로 자연, 무념 등의 단어와 붙여서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무위는 노장사상에서 도덕의 표준으로 삼고 있으며, 인간이 살아가는 동안 ..

중국회화_무위자연

王学春 245cm X 125cm Ink and Color on Paper ​ 무위자연이 말하는 아름다움은 천지 대자연에 어떠한 것을 인공적으로 첨부하지 않는 천연적인 자연계로써 자연적인 생성변화의 원리로 나타나는 아름다움을 말한다. 즉, 무위자연이란 세상 모든 만물이 자연의 법칙에 따름으로써 자연스레 성립되는 것이며, 자연의 법칙에서 벗어나 자신이 이루려는 목적을 공들여 노력하지 않아도 원하는 목적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무위자연은 동양의 노자와 장자 중심의 사상인데, 무위자연에서 말하는 도는 천지와 같은 완전한 조화를 이룬 최고의 아름다운 모습의 자연으로 존재하고 인간은 그것을 고요한 마음으로 바라보게 되는 것이며, 예술적 감수(感受)도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고 사물에 마음이 움직이지 않는 상태..

중국의 수묵화

李景秀 245cm X 125cm, Ink and Color on Paper ​ 속세를 떠나 은둔생활 하던 선비들이 그렸던 산수화는 원遠에 대한 깨달음과 더불어 동양화의 깊고 고요한 느낌을 자아냈다. 이렇듯 산수화의 등장은 원遠에 대한 요구와 발전이 함께 한다. 원의 개념이 깊고 그윽한 유현幽玄의 개념으로 발전하여 은둔생활을 하던 선비들의 보이지 않는 마음을 산수화에 담고 그 그윽하고 깊은 정서를 녹여내어 밖으로 표현하게 된 것이다. 회화의 세계는 인간의 육체를 떠나 마음 속의 주체 즉, 마음의 영혼이 요구하는 높은 경지에서 벗어나 심오하고 깊은 작가의 시선을 따라서 무한하게 이어지며 그 속에서 예술을 통해 사람들이 찾고자 하는 정신적인 자유해방의 가장 높은 경지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 梁文博 145..

중국의 수묵화

宋柏松 145cm x 145cm ink and color on paper ​ 세상의 풍속을 따르는 것에서 벗어남으로부터 얻어지는 자유해탈의 상태는 위진시대에 현학사상(뜬구름 잡는 소리가 난무하던 시대라고 할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자아에 대해 솔직하다고 볼 수 있는 나름의 문화가 발달의 시기)이 여러 가지 미학적 용어로 사용되었는데 그 중 하나가 ‘원遠’의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원이란 다른 말로 ‘현玄’(노자의 도덕경에서 비롯된 것으로 인간 인식을 초월한 우주 생성의 근원)이다. 여기에서 원의 개념은 결단코 고립되어 있는 관념이 아니며 현학과 땔 수 없는 관계의 말들이다. 원은 현학의 경지에 이른 정신세계이며, 현학이 추구하는 목표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현학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속세를 떠난 선비들..

중국의 산수화

許介川 245cm X 125cm Ink and Color on Paper ​ 세상 만물이 아름다운 조화를 이루고자 하는 것은 인간의 중화中和 정신인데, 인간 행위에서 나오는 아름다움과 도덕적 내용을 모두 포함하여 밖으로 표현되도록 하는 것을 예술이라 말한다. 흔히 동양의 예술은 정신을 강조하면서 깊고 담담하며 그윽한 멋을 품고 있는 예술이라고 말한다. 즉, 유현미幽玄美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유현미(이치나 바른 뜻을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로 깊고 아름다움)는 특히 산수화에서 분명히 나타난다. 산수화는 발생 된 계기만 보아도 위진현학(魏晋玄學-위진 시대 노자와 장자 일파의 학설)과 자연애호 정신으로 결론 지어짐으로 자연스럽게 장자의 정신과도 서로 통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장자』의 「소요유逍遙遊」..

산수화의 유현미幽玄美

王啓勝 145cm x 145cm ink and color on paper ​ ​ 세상 만물이 아름다운 조화를 이루고자 하는 것은 인간의 중화中和 정신인데, 인간 행위에서 나오는 아름다움과 도덕적 내용을 모두 포함하여 밖으로 표현되도록 하는 것을 예술이라 말한다. 흔히 동양의 예술은 정신을 강조하면서 깊고 담담하며 그윽한 멋을 품고 있는 예술이라고 말한다. 즉, 유현미幽玄美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유현미(이치나 바른 뜻을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로 깊고 아름다움)는 특히 산수화에서 분명히 나타난다. 산수화는 발생 된 계기만 보아도 위진현학(魏晋玄學-위진 시대 노자와 장자 일파의 학설)과 자연애호 정신으로 결론 지어짐으로 자연스럽게 장자의 정신과도 서로 통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장자』의 「소요유逍遙..

중국의 수묵화

李辛儒 245cm X 125cm, Ink and Color on Paper ​ 형호는 ‘기운’을 강조하며 미학의 길잡이로 삼았으며 산수화를 그릴 때 자연경관을 상세하게 관찰하고, 화면에 어떻게 담을지 생각하여 세밀하고 질서있게 구도를 배치할 것을 말하였다. 산이 어떻고 강이 어떠하며, 멀리서 보았을 때 어떠하고 근거리에서 보면 어떠하며, 봄, 여름, 가을, 겨울은 어떠하고, “사시사철의 풍경이 저마다 제각기 다른 모습을 띠고 있다.”, “아침․저녁의 풍경이 저마다 제각기 다른 모습을 띠고 있다” 라고 말하며, 자연은 모습은 계절과 기후, 시간과 지역, 위치와 관계의 차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니 그것을 살피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화가는 그것들을 세세하고 정확하게 관찰·파악하여 화폭에 묘사하기를 요청하였다..

형호의 기운론(2)

張积成 245cm X 125cm Ink and Color on Paper ​ 형호가 말하는 기란 화가의 창작에 대한 결과가 아니라 작품 활동의 작용으로 이루어졌다는 부분에서 송대 기운론 중에 나오는 ‘기운은 화가의 주관에 의해 나타나는 것’에 대한 선구적인 사상이었다. 또한 형호가 육조六朝(오, 동진, 송, 제, 양, 진의 여섯 왕조)시대 이래 인물이나 신神 같은 동적인 것에만 적용하던 기운을 자연물인 산수수석(山水樹石)에까지 확대하여 적용한 것은 역대 기운론들의 내용이 크게 발전했다고 할 수 있다. 이로써 인물화를 주로 작업하며 용필 위주로 논의되던 시대의 기운은 용묵의 기법을 받아들이게 된다. ​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육조 시대에 기운에 대한 미학적 시각이 변화하였고 원래는 인물화에 주로 적용되던 심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