竹圃美術館

소장품_작가별 보기 106

종병의 『화산수서』

張松 145cmⅩ145cm Ink and Color on Paper ​ 종병의 『화산수서』에서 현인은 “賢者澄懷味象-마음을 맑게 하여 형상을 음미한다”라고 하였는데 여기서 ‘味象미상’이란 형상으로서의 자연을 느끼고 생각하는 것이다. 종병이 세월 흐르는 것을 모르고 평생 중국의 여산과 형산을 그리워하고 마음껏 자연을 배회하며 수행에 매진했던 것도 이 때문이다. 노년에 이르렀을 때 몸이 쇠약하여 유명한 산들을 두루 보지 못할까 걱정하였는데 자신이 기를 하나로 모으고 그 정신을 통해서도 몸을 편안하게 할 수 없게 되자 이를 부끄럽게 여겼으며 수행자로 머물고 있는 자신이 수행에 정진할 수 없게 되자 그는 산수를 그리기 시작하였다. ​ 李世光 245cm X 125cm, Ink and Color on Paper ​..

종병의 『화산수서』

杜華 145cmⅩ145cm Ink and Color on Paper ​ 자연을 성인의 정신을 반영한 것으로 생각한 것은 달리 보면 자연이 곧 성인의 모습이고, 자연을 고요한 마음으로 비추어보는 것은 바로 성인의 모습을 감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이 성인의 모습을 감상하는 이는 누구일까? 이것은 종병이 이야기 하는 산수화 의미에 대한 중요한 질문이다. 이에 대한 질문의 답은 그의 『화산수서』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성인은 도를 머금고 사물에 화답하고 응한다”과 “현인은 마음을 맑게 하여 형상을 음미하한다”라고 성인과 현인의 관계를 정의한 것에서부터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생각컨데 성인은 정신을 통해 도를 본받으며, 현인은 그것을 꿰뚫었다”라고 하였는데 이는 성인은 도를 지니고 인연에서 벗어나 ..

위진남북조시대의 산수화

張軍博 145cmⅩ145cm Ink and Color on Paper ​ 위진남북조시대에는 산수화가 독립적인 회화의 형태로 자리잡지 못하였다. 산수나 나무, 돌 그리고 강과 같은 자연물을 그리는 것이 익숙하지 않았다. 그런데 이 시기에 현실과 동떨어진 원근과 투시, 표현기법 등이 정리된 산수화의 이론이 책으로 나왔는데 그것이 바로 종병의 『화산수서』이다. 오늘날의 펼쳐보아도 산수화의 독립적인 위치를 형성하고 있었다는 시대적 상황을 잘 보여주며 깊고 심오한 뜻이 담긴 이론서이다. 종병의 산수화 이론이 예술의 양식적 특성과 관련하여 설명할 수는 없지만, 누워서 산수화를 감상하면서 기대하는 그의 ‘와유’와 ‘창신’에 대한 언급은 이후 산수화 발전에 큰 밑거름이 되었다. ​ 曾先國 撈山九水潮音 145cmⅩ145..

위진남북조의 회화

張苦僧 245cm X 125cm Ink and Color on Paper ​ 위진남북조 이전시대는 대부분 신화나 전설 위주의 그림을 그렸다면 본격적으로 예술을 자각한 시대는 위진남북조이며 주로 그리던 화화의 장르가 인물화였다. 고개지나 사혁, 요최 등 당시 다양한 회화 이론들에서 주로 다룬 소재 역시 인물화였다. 이 시대는 현학은 예술과 긴밀한 관계를 맺으며 발전함에 따라 산수에서 아름다움을 찾으려는 하였다. 송나라의 문학가 유송 유의경은 그가 편집한 『세설신어』에서 인물을 묘사하는데 있어 그 사람의 내면세계를 함축적인 의미로 자연의 형상에 비유했다. 그의 인물 품평은 중국미학사상의 중요한 한 페이지를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고개지 역시 산수화의 관한 새로운 내용을『화운대산기』에 담았다. 그러나 이러한 ..

곽희의 평원

​ 馬新陽 245cm X 125cm, Ink and Color on Paper ​ ​ 곽희의 평원에 대한 개념은 바로 ‘깊고 온화함이요.충융沖融(온화함)이요, 맑고 깨끗하며 욕심이 없다’일 것이다. 자유해탈한 인간의 정신이며, 장자와 위진현학이 바라던 사상이기도 하다. 이러한 정신은 고원과 심원에 비해 평원에서 동양적인 사고를 그림으로 나타내는 화가의 정신적 요구에 가장 적합하며 산수화의 삼원법 중 평원의 시각으로 가장 쉽게 자유해탈의 정신을 체험할 수 있다, 그리하여 곽희는 이 시대의 정신을 가장 잘 드러나게 하는 평원의 산수를 가장 즐겨 표현하였다. ​ 王居明 145cm x 145cm ink and color on paper ​ 참고 문헌: 中國畵-선의 예술 붓의 미학 (린뤄시 지음, 황보경 옮김) ..

곽희의 삼원법

​ 吳家富 245cm X 125cm, Ink and Color on Paper ​ 고원, 심원, 평원의 원세遠勢를 표현한 체험적 결과인 곽희의 는 그 시대 예술의 특징이었던 고요하고 담담한 평담의 아름다움이 잘 나타난 산수화를 그렸는데, 이러한 작품들을 평원산수라 한다. 당시 하나의 예술사조로서 평담의 미가 회화의 평원산수로 그려졌다고 볼 수 있다. 곽희의 삼원법을 각각 명칭 그대로 한자의 뜻을 분석해보아도 그 의미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고高와 심深의 특징은 모두 강하며 진취적이고 적극적인 성격을 지니다. 그에 반해 평平은 부드럽고 소극적인 성격을 지니며 자유로운 특징을 지니고 있다. ​ ​ 曾先國 靑島攬勝圖 145cmⅩ145cm Ink on Paper ​ 참고 문헌: 중국화론으로 본 繪畵美學(지순..

중국회화의 삼원법

劉宗漢 蒼山雲海蘊詩情 145cmⅩ145cm Ink & Color on Paper ​ 범관의 처럼 곽희 이전 시대의 산수는 삼경을 표현하는데 있어 각 계절의 산수 모습을 크기의 비례와 먹색의 농담으로 변화하는 원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그런데 곽희의 를 살펴보면 이전 시대 화가들의 작품에서 찾아볼 수 있었던 원의 모습을 아울러 종합적으로 나타내었다. 먼저 근경, 중경, 원경에 맞추러 산수를 투시하고 중심이 되는 웅장한 산 아래에 각종 산의 모습들을 수직적으로 구도를 배치하여 평면의 구도가 될 수 있도록 처리하였으며, 가운데를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공간을 심도있게 나타내었으며 폭포 부분을 심원법으로 처리하고, 왼쪽에는 물과 침식된 모래언덕들을 평원법으로 나타냄으로써 화면의 연속성과 공간감을 자아내었다. 고원을 ..

곽희의 삼원법

​ 田應福 245cm X 125cm Ink and Color on Paper ​ 곽희의 삼원에 대한 세 번째 이론으로 그는 형세에 대해서도 자세히 관찰하였다. “고원의 형세는 우뚝하게 솟아 있고, 심원은 겹겹으로 포개진 듯하며, 평원의 뜻은 융화된 장면으로 온화하게 펼쳐 있으면서 경쾌하고 무한감이 감도는 것이다. 삼원에 있어 인물이 그 위치에 있을 경우 고원의 인물은 밝고 명료하며 심원에서의 인물은 작고 자가늘며 평원의 인물은 해맑고 깔끔하게 그려야 한다.” -곽희. 곽사의 中 곽희의 대표작를 살펴보면 위 삼원법을 동시에 찾아볼 수 있어 동양미학이론에 있어 아주 중요하다. ​ 李辛儒 245cm X 125cm, Ink and Color on Paper ​ ​ 참고 문헌: 중국화론으로 본 繪畵美學(지순임 지..

곽희의 삼원법

​ 金 玉 245cm X 125cm, Ink and Color on Paper ​ 곽희의 삼원에 대한 두 번째 이론은 산수의 색 또한 관찰자의 시점과 각도에 따라 다양한 색으로 변화됨을 발견하였다. 앞서 이야기한 바와 같이 곽희는 원에 대해 깨닫고 산수의 형세를 파악하였으므로 산수의 색도 여러 가지의 색을 혼합하여 만들 수 있는 깊은 색으로 인식하고 표현하였다. 그의 산수화를 살펴보면 대부분 현색玄色인 수묵으로 그려져 있고 깊고 그윽한 수묵으로 펼쳐지며 위진시대의 철학 사조인 현학과도 하나가 됨을 의미한다. 현색으로 그림을 표현하면서도 색의 작은 변화까지 꼼꼼히 이론으로 정리한 것이 또 다른 특징중에 하나이다. 곽희는 “고원의 색은 맑고 밝으며, 심원의 색은 무겁고 흐리며, 평원의 아득하고 온화하다”고 ..

곽희의 삼원법

陳福春 245cm X 125cm Ink and Color on Paper ​ 송대 화가들은 산수에서 보이는 신비의 세공간을 표현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들은 화면에 ‘거리’와 ‘공간’을 최대한 표현하고자 하는 강한 의지들은 보고 탐색한 것을 화면에 옮긴 작품을 통하여 알 수 있다. 그 중 곽희가 선봉에서 원에 대한 인식을 지각하여 공간의식에 대해 잘못되거나 부족함이 없는지 성찰함으로서 산수화에서 중요한 삼원이론을 확립한 것이다. ​ 그의 삼원에 대한 첫 번째 이론은 산수를 보는 각도에 따라 시각적 경험이 다르다는 것을 밝힌 동시에 각도에 따른 거리까지 염두한 이론이다. 의에서 삼원법을 아래와 같이 이야기하고 있는데 이는 자연경관을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변화하는 공간감을 표현하기 위해 종합한 이론이다. ​ 고..

반응형